2010년 2월 1일 월요일

연대별로 본 간략한 한국 서점의 역사

<서점의 역사>에 대해 글을 모으고 있다.

 

우리나라 근대 서점의 효시
갑오개혁(1894)이후 우리나라 근대 상업출판의 단초(端初)를 연 것은 개화기(開化期)의 서점들로 각계에 휘몰아친 개혁의 새바람을 타고 등장한 이들 서점은 각종 서적의 간행 판매를 통해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고 서구의 신지식을 보급, 신문화 운동에 크게 이바지 했다.
그 대표적인 서점 하나가 회동서관(匯東書館)으로 1880년대 말 창업 당시 상호는 고제홍서사(高濟弘書肆) 또는 고제홍서포(高濟弘書鋪)로 불리어져 오다가 아들대에 고유상서포(高裕相書鋪)를 거쳐 회동서관(匯東書館)으로 호칭됐다.
또한 1900년대초 서적상으로 김상만서포(金相萬書鋪), 주한영서포(朱翰榮書鋪), 노익형책사(盧益亨冊肆)등이 각각 광학서포(廣學書鋪), 중앙서관(中央書館), 박문서관(博文書館) 등으로 개명하여, 이어져 왔으며 대동서시(大東書市), 신구서림(新舊書林), 의진사(義進社), 옥호서관(玉湖書館), 유일서관(唯一書館), 대한국민교육회, 황화서제(皇華書齊), 보급서관, 수문서관(修文書館), 동문사(同文社), 흥문관(興文館), 대한서림(大韓書林), 황성서적업조합(皇城書籍業組合) 등을 꼽을 수 있었으나 당시는 출판책자가 극히 한정된 분야 뿐이였으며 국내에서는 한제본(韓裝本), 목판(木版)이 주종을 이루었던 때이나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1909년 처음 양장본의 옥편(玉篇) <자전석요(字典釋要)>(지석영 저)가 출판된 후 서점(書店)에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의 시초였다.
1940년대
1945년 8월 15일 세계 제2차 대전의 종식과 함께 국내외적으로 급격한 변화의 물결이 닥쳤다. 당시의 책으로는 팜프렛 형태의 소책자(小冊子)가 범람하였으며 서점보다는 노점에서 판매가 많았으나 점차 책의 형태가 단행본 등 다양화하면서 서점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지방의 경우 등짐장수들에 의해 한정된 분야의 책들이 판매되기도 하였으나 서점 면모를 갖춘 점포는 주로 도시에서 볼 수 있었다.
서울 관훈동에서 일제말기부터 고서(古書)와 신간(新刊) 출판을 겸업하던 삼중당서점(三中堂書店)은 도매형태를 갖춘 출판물판매대행업을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정가의 5% 수수료로 책을 서점에 공급하는 도매상이 생겼다.
서울 관훈동에 고서점(古書店)을 하던 일성당서점(一成堂書店)이 신간 도매서점을 개점하였으며 1946년 청구서림(靑丘書林), 유길서점(有吉書店)이 개점했다. 이외에도 한양각도매공사(漢陽閣都賣公司), 한영서점(韓榮書店), 문장각(文章閣)등이 있었으며 이후 숭문사(崇文社), 한풍서림(韓豊書林), 삼성사(三省社) 등 도소매 겸업서점이 생기면서 최초로 특정도서를 독점총괄판매하는 총판제도가 생겼다. 당시 지방 주요 도매상 겸업의 대표적인 서점으로는 부산의 평범사(平凡社), 대구의 개몽사서점(改蒙社書店) 등이 있었다.
1950년대
유통질서가 문란하였던 1955년 서점들은 불황속에서 살아남기위해 할인판매가 성행했으며 1956년에 서울 동대문 대학천 서적가에는 할인 덤핑서점이 계속 늘어나 이 일대가 할인판매서점들의 집합지가 되어 인근의 기존 서적상들은 속속 폐업하게 되었다.
당시 서울의 경우 종로1가와 2가에 중ㆍ대형서점 몇곳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대부분은 학교 인근의 서점이 남아 있었으며 을지로ㆍ충무로ㆍ종로 등 중앙지역 서점 대부분이 점차 폐업하거나 전업하게 되어 서점 부재현상이 심각한 지경에까지 이르게 됐다.
전국서적상연합회는 할인판매의 시정과 소매이윤의 적정선 유지를 위한 공동구매 기구를 직접 설립하기 위해 1956년 12월 한국도서신탁공급공사(韓國圖書信託供給公社)를 설립했다.
1952년 12월 28일 한국서련(당시 서련ㆍ書聯)은 문란한 도서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대책으로 당시 부산의 대표적인 도매상 평범사, 문명당, 보문당 등을 주축으로 대한도서공급주식회사를 설립했다.
1960년대
1962년 8월 전국서적상연합회는 산하조합과 함께 서점인 단합결의대회를 개최하고 도서의 정가판매 실시와 저질도서 추방 및 양서보급 운동을 결의했다. 이에 대해 대한출판문화협회에서도 서련(書聯)의 도서정가제 실시운동지지를 결의하고 산하 회원사에 협조토록 했다.
1961년 정가제 실시는 정부의 정찰제 실시 시책에 부응해 어느때 보다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여건으로서 상공부ㆍ내무부 장관의 공동담화문(1961. 7. 26)에서 모든 상품의 정찰제 실시 대책이 천명되어 재건국민운동본부에서 정찰제 국민운동이 추진되었으며 특히 문교부장관 고시151호에 의한 도서정가판매 의무규정을 출판ㆍ서적계에 지시하면서 도서의 할인판매 악습을 사회질서 정화 차원에서 씻어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되었다.
그러나 유통환경의 극심한 혼란으로 대전의 문방당서점(文房堂書店), 마산의 조양서점(朝陽書店), 원주의 인문서점(仁文書店), 원주서점(原州書店), 인천의 삼중서점(三中書店) 등이 문을 닫았다.
도매상 중에는 서울의 대형도매상 중에 문을 닫은 일문사(一文社), 동광서림(東光書林,) 유길서점(有吉書店), 평화당서점(平和堂書店)에 이어 동대문 영진서림(榮進書林), 문화서림(文化書林), 형제서림(兄弟書林), 통의동의 호세서림, 충남논산 동본사서점(東本社書店), 김제의 희망서림(希望書林), 상주의 문화서림(文化書林), 부안의 문예서림(文藝書林) 등이 줄줄이 폐업하였다.
1970년대
1970년 1월 한국서점조합연합회 정기총회에서는 도서의 유통질서 문란으로 날로 어려워지는 서점업계의 정상화를 위하여 서점육성 대책을 수립하였으며, 회장단은 청와대를 방문하여 문교ㆍ문화공보 담당 비서관을 면담하고 국민독서운동 추진과 서적계 지원 육성을 건의하였다.
1974년 1월 7일 서련(書聯) 정기총회에서는 재건국민운동중앙회와 공동으로 추진해온 국민독서생활화 운동을 활성화하기 하기 위하여 국민독서생활화운동중앙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도서의 정가판매는 1974년부터 실시를 시도하였으나 실시를 강제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었으며 출판계의 적극적인 협조없이 서적상의 결의만으로는 지속적인 실시가 어려웠다. 오히려 정가제실시로 인해 일부 할인업소에만 이익을 주게되는 악순환만 계속되었다.
1977년 12월 1일 도서정찰제는 수차의 결의를 통해 전국적으로 일제히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출판사들이 도서 가격을 인하 조정하여 통보하기에 이르렀다.
통보된 도서 총 종수는 224종으로 분야별로 살펴보면 총류가 3종, 사회과학이 3종, 학습참고서 43종, 어학 123종, 문학이 8종, 아동도서가 41종, 역사가 3종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



1980년부터 1989년까지의 10년은 정치 사회적으로 혼란한 가운데 도서정가제가 시행되고 서점의 대형화가 시작된 시기였다.
1980년말 공포된 ‘독점규제 및 공제거래에 관한 법률'의 예외 규정에 따라 도서의 재판매가격유지(정가제)가 법적으로 보장받게 되었다. 서련은 1982년 7월 2일 대한출판문화협회와 재판매가격유지 계약을 체결 이후 2차 수정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0년 후반에는 교보문고 개점 계획이 알려지자 크게 영향을 받게 될 서점인들이 강력하게 반대했으나, 1980년 6월 1일 매장 규모가 900평이나 되는 교보문고가 서울 한복판에서 개점하여 대형서점의 시대를 예고했다. 교보문고는 개점한지 반년만에 크게 성공하여, 출판계에 큰 기대를 불러일으켰으며, 서점의 대형화 추세를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1990년대
1991년 4월부터 도서상품권이 발매되므로써 도서구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1991년 12월부터 ‘책포장 안하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 실시되어 물자절약은 물론 서점에서의 번거로운 업무가 감소되었다.
1992년에는 교보문고가 2,700평의 서점을 개점하고 영풍문고가 종로구 서린동에 1,200평 규모의 서점을 개점하여 서점대형화에 길을 더욱 빠르게 했다.
전국적인 대형 유통사의 등장에 따라 할인매장이 우후죽순처럼 번창하여 동네서점의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인터넷 서점의 무차별적인 할인으로 동네서점의 폐업이 급증하였으며, 1998년 3월에는 대형도매유통사인 보문당이 부도를 내게 되었다.
한국서련은 1999년 2월 과천정부청사앞에서 ‘도서정가제 준수 촉구 및 전국서점인 자정결의 대회'를 열어 도서정가제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한편 1999년 11월 ‘저작물의 정가유지에 관한 법률'(안)을 국회에 청원하여 의원 입법으로 발의 되었으나 무산되고 말았다.
2000년대
2000년대에 들어와서도 서점출판업계의 가장 중요한 화두는 도서정가제였다. 관련기관, 단체에서는 산발적으로 공청회, 토론회 등의 명칭으로 모임을 가졌으나 도서정가제의 찬반에 대한 주장만 발표하는 정도였으며, 2000. 12월에는 국회의원회관에서 문광위상임위원인 정범구의원의 주관으로 정책토론회를 하였으나 역시 주장을 확인하는 선에서 끝났다.
2000년 11월 9일 한국서련은 서울역 광장에서 약 2,000여명의 서련회원과 출판관련 단체가 참가한 가운데 도서정가제 입법을 촉구하는 전국서점ㆍ
출판인 결의대회를 개최하였다.
한편 출판단체, 도매유통사 소매(온라인포함) 대형서점등이 참여한 전국도서유통협의회를 구성하여, 자율적인 정가제 시행을 눈앞에 두었으나 내부분열로 무산되고 말았다.
2000년 문화관광부에서 정부입법으로 추진한 ‘출판 및 인쇄진흥법'이 규제개혁위원회의 반대로 무산되자 서련에서는 2001년 3월 국회에 새로운 입법안으로 청원하였다. 이후 국회에서 출판인쇄진흥법과 통합ㆍ수정안으로 준비하여, 2001. 11월 여야의원 27명으로 발의 되었으며, 문광위와 법사위를 거치는 동안 소공청회와 협의를 거치는 등 우여곡절 끝에 2002. 7월 국회본회의를 통과하게 되었다. 오프라인 서점은 온라인 서점등의 영향으로 1998년 이후 4년동안 기존 서점의 50%가 감소했으며, 95년의 역사를 지닌 종로서적도 2002년 6월 4일 부도를 내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